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알랭 드 보통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

by loveyourchoice 2025. 3. 17.

사랑은 기대와 환상의 충돌이며, 심리적 욕망의 투영이다.

알랭 드 보통은 사랑을 단순한 감정의 흐름이나 운명적인 사건으로 보지 않는다. 그는 우리가 사랑에 빠지는 과정이 자신의 심리적 욕망과 기대가 상대에게 투영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다시 말해, 사랑하는 사람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바라는 모습으로 해석하여 사랑하게 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에 빠질 때 강렬한 감정을 느끼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실망과 갈등을 경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연애 초반에는 상대방이 완벽해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본래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우리가 덧씌운 이상화된 이미지와 충돌하게 된다. 결국 사랑이란, 이상과 현실이 부딪히는 과정 속에서 성숙해지는 것이다.

사랑의 단계: 이상과 현실의 충돌 과정

보통은 연애가 단순한 사건이 아니라 여러 단계를 거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1) 매혹의 순간 (Attraction)
우리는 상대에게 끌릴 때 단순히 그 사람 자체가 아닌, 우리 내면의 욕망이 반영된 모습을 본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부모에게 인정받고 싶었던 사람이 따뜻하고 배려심 있는 사람에게 끌리는 경우가 많다.

2) 이상화의 과정 (Idealization)
사랑에 빠지면 상대방의 긍정적인 측면만을 보고, 마치 완벽한 존재처럼 여긴다.
이 시기에는 상대방의 단점이 보이지 않으며, 모든 것이 특별하고 사랑스럽게 느껴진다.
예를 들어, 상대가 말투가 서툴러도 "그게 귀엽고 매력적이야"라고 생각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왜 이렇게 말하는 방식이 답답하지?"라고 느끼게 된다.

3) 현실과의 마주침 (Disillusionment)
시간이 지나면서 상대의 단점이 보이기 시작하고, 기대했던 모습과 다르다는 것을 깨닫는다. 우리는 사랑을 통해 자기 욕망이 충족되기를 기대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점에서 실망을 느낀다. 많은 연인이 이 단계에서 갈등을 겪고 이별을 고려한다.
연애 초반엔 상대의 다정함이 사랑스럽게 느껴졌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관심이 과도한 집착처럼 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음에는 "밥 먹었어?"라고 챙겨주던 연인의 질문이 나중에는 "왜 연락이 늦었어?"라는 통제로 느껴지며 갈등이 생길 수 있다.

4) 조정과 성장 (Adjustment & Growth)
성숙한 연애로 나아가기 위해 상대의 현실적인 모습을 받아들이고, 관계를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대가 이상적인 존재가 아니라 한 명의 인간으로 보이기 시작하며,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법을 배운다.
이런 차이를 극복하려면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애정 표현 방식이 달라 한쪽이 "사랑이 식었어?"라고 느낄 수 있지만, 상대가 표현하는 방식이 다를 뿐임을 깨닫고 조정하면 관계가 더욱 단단해진다.

우리는 왜 사랑에서 실망하는가?

보통은 우리가 사랑에서 실망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1) 상대방이 내 결핍을 채워줄 것이라는 기대
사람들은 연애를 통해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려 한다.
예를 들어,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은 항상 자신을 챙겨주는 연인을 원하지만, 연애는 단순한 감정적 보상이 아니다.
상대방이 완벽한 보호자가 되어줄 거라는 기대는 현실과 충돌하면서 실망으로 변한다.


2) 이상적인 연인의 환상
우리는 연애 초기 상대방의 좋은 모습만 보고 사랑에 빠지지만, 실제로는 누구나 단점이 있다. 시간이 지나며 우리는 상대가 "변했다"고 느끼지만, 사실은 변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몰랐던 부분이 드러난 것뿐이다.
예를 들어, 상대가 처음에는 자상해 보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지나치게 참견한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3) 자신의 내면적 문제를 상대에게 투영
연애 중 갈등이 생길 때, 상대가 문제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종종 갈등의 원인은 자신의 내면적 불안이나 트라우마에서 비롯된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 부모에게 인정받지 못한 사람이 연애에서 끊임없이 애정을 확인하려고 할 수 있다.

알랭 드 보통 / 나는 왜 너를 사랑하는가 표지

심리학적 팁: 사랑을 더 성숙하게 받아들이는 법

1) 사랑의 감정보다 "사랑하는 행위"에 집중하기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상대방이 이상적인 사람이 아닐 수도 있지만, 진정한 사랑은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된다.


2) 연애의 실망은 자연스러운 과정임을 받아들이기
관계에서 실망이 찾아온다고 해서 사랑이 끝난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단계를 잘 넘기면 더욱 깊은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3) 내면의 욕망과 결핍을 점검하기

내가 원하는 사랑이 단순한 욕망의 반영인지, 진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것인지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4) 상대방을 바꾸려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상대를 바꾸려고 할수록 갈등은 더 커진다. 진정한 사랑은 상대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본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결론: 사랑이란 환상이 아니라 이해와 조정의 과정이다.

알랭 드 보통은 사랑이란 순간적인 감정이 아니라 끊임없는 조정과 이해의 과정이라고 강조한다. 연애에서 실망을 경험하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이를 성숙하게 받아들이고 관계를 조정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우리는 사랑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마주하고 성장하는 기회를 얻는다. 상대를 통해 자신의 욕망과 기대를 되돌아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더욱 성숙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