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1
'착한 사람 콤플렉스' 심리학적 분석
모두에게 좋은 사람이 되려는 심리의 뿌리왜 우리는 모두에게 착해야 할까?‘착하다’는 말은 언뜻 보면 칭찬처럼 들립니다. 그러나 그 칭찬인듯 한 말 속에서 '나는 당연히 친절해야 한다'는 강박 속에 마음이 병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의 내면에는 보통 자기 부정과 감정 억제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착한 사람 콤플렉스'란 거절하지 못하고 타인의 기대를 무조건적으로 충족하려는 심리적 경향을 말합니다. 이 복합적인 심리는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닙니다. 낮은 자존감, 애착 외상, 자아 정체감의 부재 같은 심리 구조 안에서 형성되고 강화됩니다. 이 글에서는 그 심리적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학적 기반의 방법들을 제시하고자 합니다.자기애적 결핍과 애착의 상처‘좋은 사람’이 되려는 강박은 대개 유년..
작성일: 2025. 6. 21.김주환 교수의 『내면소통』 책리뷰
감정의 주인이 되는 뇌과학적·심리학적 안내서우리는 왜 자신과 제대로 대화하지 못할까?오늘날 감정 과부하는 흔한 현상이며, 이는 번아웃과 같이 극단적인 감정적 단절로 이어진다. 사람들은 감정에 압도당하면서도 정작 그것을 인지하거나 조절하지 못하여 병이 생기는 것이다. 내가 평소에 즐겨보는 유튜버 김주환 교수의 저서,『내면소통』은 이러한 감정적 혼란에 빠진 사람들에게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나는 나 자신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이 책은 감정과 의식 사이의 다리를 회복하고, 자신과의 대화를 다시 배우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는 단순한 태도의 문제가 아니라 뇌과학과 심리학이 밝혀낸 인지 및 감정 메커니즘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감정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회로: 편도체-전전두엽 연결이 책의 핵..
작성일: 2025. 6. 20.『인사이드 아웃』의 심리학적 해석
감정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감정이 주연이 될 수 있을까?처음 인사이드 아웃이 개봉했을 때, 조카와 함께 보러가서 조카도 성인인 저도 같이 감동을 받아 눈시울을 붉혔던 기억이 있습니다. 픽사의 애니메이션 영화 「인사이드 아웃」은 전례 없는 도전을 시도하여 성공을 거둔 것으로 유명합니다. 기쁨, 슬픔, 분노, 혐오, 두려움이라는 감정 자체를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것이죠. 이들은 11세 소녀 라일리의 내면 감정 체계를 나타내며 발달기 아이의 심리를 생생하게 그려냅니다. 표면적으로는 단순해 보이지만, 이 영화는 정서 심리학, 발달 심리학, 신경심리학의 핵심 이론들을 상당히 잘 포착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인사이드 아웃」의 심리적 깊이를 살펴보며, 감정이 단순히 조절해야 할 대상인 것이 아니라 성장의 필수 요..
작성일: 2025. 6. 19.『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책리뷰
철학을 통한 삶의 본질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왜 고통은 존재하는가?『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는 단지 철학을 소개하는 책이 아닙니다. 이 책은 인간 삶의 내면에 존재하는 고통, 갈망, 좌절을 직면하게 만듭니다. 쇼펜하우어는 고통을 인간 본성의 불가피한 요소로 간주하며, 그것을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고 넘어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철학적 통찰은 임상 심리학과 실존 심리학을 비롯한 다양한 심리학 분야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책에서 다룬 사상을 심리학적 관점으로 재해석하고, 그것이 중년기 자아 이해 및 감정 조절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봅니다.인간은 욕망하는 존재: 의지의 심리학쇼펜하우어는 인간 존재의 본질을 "맹목적인 의지"로 보았습니다. 이는 심리학에서 말하는..
작성일: 2025. 6. 18.도서 『부의 추월 차선』과 심리학
부를 이루는 사람들의 인지적 차이부는 사고방식의 문제다30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개인의 부와 자산에 대한 주제에 관심이 많아졌다. 나는 지금까지 잘 이루었는지, 앞으로는 어떻게 이루어 가야 하는지에 대해 자문을 하던 중 발견한 책이 좋아 리뷰해 보고자 한다. 자수성가한 백만장자가 쓴 『부의 추월차선』은 단순한 자기계발서를 넘어 인간의 사고방식, 선택 패턴, 동기 시스템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 MJ 드마코는 사람들이 부를 축적하지 못하는 이유가 경제 시스템이나 운이 아닌 잘못된 사고의 틀에 있다고 주장한다. 이 관점은 심리학 이론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외부 환경이 아닌 내부 인지 구조가 성공과 부를 결정짓는다는 주장은 자기결정성이론과 시간지향성 같은 현대 심리학 이론에서 강하게 뒷받침된다. 이..
작성일: 2025. 6. 17.정서 이중 처리 이론 : 감정의 속도와 심리적 대응
감정의 속도로 삶을 조절하다정서는 우리의 일상 활동을 조절하는 가장 강력한 심리적 과정 중 하나다. 그러나 모든 감정이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은 아니다. 감정은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어떤 감정은 번개처럼 빠르게 일어나고, 어떤 감정은 오랜 시간의 숙고 끝에 서서히 드러난다. 감정 처리 방식이 단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심리학자들은 감정이 따르는 다차원적인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정서 이중 처리 이론(Dual-Process Theory of Emotion)을 제안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감정은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 하나는 빠르고 자동적인 경로(빠른 감정), 다른 하나는 느리고 인지적으로 구성된 경로(느린 감정)다. 본 글에서는 이 이론이 감정 인식과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
작성일: 2025. 6. 16.